2009年1月15日木曜日

[機械翻訳] 屠門大嚼

도문대작 [屠門大嚼]
1611년에 허균(許筠) 이 우리 나라 팔도의 명물 토산품과 별미음식을 소개한 책. 1권 1책. 필사본. 허균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으로 형조판서와 의정부참판을 지냈다. 이 책은 허균이 바닷가로 귀양갔을 때에 쓴 책이다. 귀양지에서 귀양지의 거친 음식을 먹게 되자 전에 먹었던 좋은 음식을 생각나는 대로 적어놓은 것이다.
≪도문대작≫의 서술 내용에는 병이류 11종목, 채소와 해조류 21종목, 어패류 39종목, 조수육류 6종목, 기타 차·술·꿀·기름·약밥 등과 서울에서 계절에 따라 만들어 먹는 음식 17종을 부기하였다. 병이류 중의 별미음식과 명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방풍죽은 강릉, 석이병은 표훈사, 백산자는 진주, 다식은 안동, 밤다식은 밀양, 차수(叉手:칼국수)는 여주, 엿은 개성, 웅지정과(熊脂正果)는 회양, 콩죽은 북청의 것이 명물이라고 소개하였다.
≪도문대작≫은 어패류도 그 명산지를 함께 해설하였다. 경상우도의 상인이 전복을 말려서 꽃모양으로 오리거나 얇게 저미는 화복(花鰒)을 만드는 기술에 능하다고 소개하였다. 조수육류에서는 웅장(熊掌 : 곰의 발바닥)·표태(豹胎 ; 표범의 태)·녹설(鹿舌 : 사슴의 혀)·녹미(鹿尾 : 사슴의 꼬리) 음식의 명소를 소개하였다. 이밖에 여러 품목에 관하여 식품의 소재뿐 아니라 그 식품에 관한 음식관습까지 언급하고 있다.
≪도문대작≫은 특히, 허균 자신이 직접 그곳을 찾고 음식을 맛본 것이다. 따라서 간략한 해설이지만 식품과 음식의 실상을 알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더욱이 별미음식이 넓은 지역에 걸쳐 선정되어 있으므로 당시, 상류계층의 식생활과 향토의 명물을 일별할 수 있다. 17세기의 우리나라 별미음식을 알 수 있는 좋은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규장각도서 등에 있다. 1961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영인, 간행되었다.
≪참고문헌≫ 韓國食經大典(李盛雨, 鄕文社, 1981)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42405&v=43

도문대작 [屠門大嚼]
조선 중기의 학자 허균(許筠:1569~1618)이 지은 우리나라 8도의 명물 토산품과 별미음식을 소개한 책.
1권 1책. 필사본. 1611년(광해군 3) 허균이 귀양지인 전라북도 함열(咸悅)에서 기존의 초고와 기억을 토대로 엮은 〈성소부부고 惺所覆■藁〉 26권 중 제26권이다. '도문대작'이란 푸줏간 앞을 지나면서 크게 입맛을 다신다는 뜻으로, 병이류(餠餌類) 11종, 과실류 30종, 비주류(飛走類) 6종, 해수족류(海水族類) 40종, 소채류 25종, 미분류 5종 등 총 117종의 식품에 대한 분류와 명칭, 특산지, 재배 기원, 생산 시기, 가공법, 모양, 맛 등의 내용을 몇 가지씩 기록하고 있다. 특히 현재 채소로 전혀 사용되지 않는 목숙(■■)이 당시 좋은 식품이었다는 점과 원주(原州)가 그 특산지였다는 사실은 목숙연구에 좋은 참고가 된다. 또한, 고려 삼별초의 항쟁 때 몽고의 장군인 홍다구(洪茶丘)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수박[西] 을 들여와 개성에서 재배했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이는 고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밖에도 제주산의 귤 종래 금귤(金橘)·감귤(甘橘)·청귤(靑橘)·유감(柚柑)·유자(柚子)·감류(甘榴) 등 6종과 백어(白漁)·소라·홍합·화복(花鰒) 등을 기록하고 있는데, 특히 화복의 경우 경상우도의 상인들이 전복을 말려 꽃 모양으로 오리거나 얇게 저미는 기술이 능함을 기록하고 있다. 이밖에도 곰의 발바닥, 표범의 태(胎), 사슴의 혀와 꼬리 등 진기한 식품들이 기록되어 있다.
단순한 식품 소개의 차원을 넘어 전국을 대상으로 각 식품에 관한 음식 관습까지 언급하고 있어 17세기 우리나라 별미음식을 알 수 있는 좋은 식품학상의 자료가 되며, 더욱이 별미음식이 넓은 지역에 걸쳐 선정되어 있으므로 당시 상류계층의 식생활과 향토의 명물을 쉽게 알 수 있다. 모반혐의로 국문(鞫問)을 당하기 전 외손자인 이필진(李必進)에게 보내져 보존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B&i=126745&v=43

0 件のコメント:

コメントを投稿